<오랜 시간 사람들이 오고간 발자국이 이어져 길이 되고, 그 위에 남겨진 이야기가 다시 새로운 이야기로 이어집니다. 과거 보러 가는 선비의 꿈과 유배 떠나는 신하의 눈물이, 겨우살이 걱정하는 고라니의 마음이 모두 길 위에 있습니다. 길이 품고 있는 생명과 문화와 역사가 하나로 이어져 ‘이야기가 있는 문화 생태 탐방로’가 만들어졌습니다.>
‘이야기가 있는 문화 생태 탐방로’라는 제목의 팸플릿에 적힌 ‘길 위로의 초대’라는 글이다. 이 탐방로는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생각하며 걸을 수 있는 아름다운 길로 선정한 것인데 전국에 일곱 곳이 있다. 두 기관은 안내판을 설치하는 등 이 길을 걷기 좋게 정비하고 누구나 쉽게 찾도록 ‘걷기 지도’ 성격의 안내장을 만들어 배포하고 있다. 그렇다. 길은 생명이고 역사고 문화다. 노루와 고라니, 멧돼지가 다니던 길을 사냥꾼이 뒤쫓고 그래서 난 길을 나무꾼이 길을 들이고 그런 오솔길이 모여 외딴 동네와 사람을 이어주고 장터 찾아 짐 나르던 농군과 아낙이 그 길에 역사를 심었다. 그 길은 다시 대간의 고개 넘어 한양으로 과거시험 보러 가던 선비의 청운의 푸른 꿈으로 채색되고 또 가끔은 귀양과 유배길에 오른 관리의 분루로 얼룩졌다. 길은 그렇게 태어난다.걷는다는 것은 곧 생각하는 것. 생각 없는 걷기란 된장 고추장 간장이 담기지 않은 빈항아리와 같음이다. 걸음걸음에 생각을 담음이란 곧 자기 성찰이요 또한 자연의 관조 아닐까. 이 길을 걸으며 금수강산의 자연과 역사, 우리 문화를 다시 한 번 제대로 느껴 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중 하나인 여강(麗江) 길을 소개한다. 여강은 경기 여주군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적시는 남한강의 또 다른 이름이다.
‘자연으로 돌아가라’고 외쳤던 프랑스 철학자 장 자크 루소. 그는 “걸을 때만 명상에 잠긴다. 걸음을 멈추면 생각도 멈춘다”며 걷기예찬론을 폈다. ‘깃털 없는 두 발 짐승, 인류가 내딛어온 600만년 걷기의 역사’라는 부제의 책 ‘On Foot’(걸어서)을 쓴 조지프 아마토. 그에게 걷기는 ‘발과 땅, 인류, 이 세상 사이의 변화무쌍하고 지속적인 대화’였다.
이 말을 곱씹으며 여강 길 걷기에 나섰다. 난생 처음 찾은 겨울 강변은 애잔했다. 잿빛구름이라도 짙게 낄라치면 무채의 겨울 풍경이 더더욱 을씨년스럽다. 하지만 햇빛 쨍쨍한 한낮의 강변 모래밭은 그리도 푸근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