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더욱 활발 하여 졌으며 국가 후기 한강을 중심으로 하는 선운(船運)의 요지를 장악하여 쌀·소금·어물 등을 판매하여고, 종사하던 상인. 강상(江商)·경강상(京江商)·경강부민(京江富民) 등의 이름이 있으며, 경기·충청도 연안일대의 상권을 장악하였다. 국가 주도의 세곡 운임 활동은 조선 후기 상업발달과 대동법의 시행으로 주도의 운송이 한계에 이르자 18세기에는 경강 상인들이 세곡 운송에 본격 적으로 참여하였는데 봉건 정부도 그 역량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경강 상인은 뛰어난 항해술과 조선술, 유통력으로 정부 세곡 운송과 한양 도성 내 양반의 소작료 운송하여 수송의 이득을 챙겼을 뿐 아니라 18세기 이후 경제 발달의 성과를 상업 활 동에 직접 연결하여 개성의 송상, 의주의 만상 등과 함께 巨商으로 성장하였다. |
'한국사. 세계사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프랑스 혁명과 맑스주의 해석과 반론. (0) | 2014.01.18 |
---|---|
고려 (0) | 2013.06.18 |
다문화 지도자 교육 (0) | 2013.03.25 |
[스크랩] 김홍도와 신윤복의 실제삶은 어떠했을까? (0) | 2013.01.06 |
병자호란 때 항복과정 (0) | 201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