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미년 삼월 이십육일 (음력)
나의 친정아버지 생신 이시다.
천안 병천 수남리에서... 태어나섰다.
그날... 나의 할아버지는 병천 아오내 장터에 독립만세 집회로 외출하셨고
할머니는 나의 아버지를 낳으셨다고 했다..
아마 아오내 장날 이었나보다.
전통적인 오일장이었던 병천 장날이 1일과 6일 이니까 26도 병천 장날이었음을 알 수 있다.
평소 나의 아버지는 이런 고장에서 태어나신 것에 대해
자부심이 대단 하셨다.
나는 아주 어릴적 아버지의 고향을 떠나 청주에서 자랐다.
아버지는 삼일절만 되면 아버지의 고향 이야기를 전설처럼 해주셨다.
그것은 아버지가 갖고 있는 투철한 애향심도 있겠지만
유난히 천안 병천에 위인이 많이 나왔다는 이야기를
어린 자식들에게 해주셨을 때는 그 정신을 닮으라고 하셨을 텐데
그 당시엔 그 뜻을 잘 몰랐던 것 같았다.
천안 부모님 집에 갈 때 마다 아오내 장터를 지나게 된다.
운 좋게 3.1절 독립만세 재현 행사를 만나게 되면
그 시절 그 장면에 가슴이 뜨거워짐을 느낄 수 있었다.
그 당시의 검정치마에 흰저고리를 입고 태극기를 들고 농협부녀회원의
만세행진을 볼때는 그 날의 그 함성이 떠올리며 이런 시골 구석까지도
나라의 독립을 위해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독립만세를 외쳤던 기개에 경건한
마음으로 묵념을 했었다.
그리고 꼭 유관순 생가에 들려 여성의 선구자이며 독립만세의 상징인
그 열사를 애도 하였다.
기미독립선언서의 골간 정신은 놀라움을 넘어 충격적이기까지 하다. 제국주의와 식민주의가 세계를 휩쓸던
20세기 전반 세계 어는 나라, 어느 민족의 독립선언들. 투쟁선언들과 비교해도 민족주의 이기보다는 보편주의적이고,. 국수주의적이기보다는 세계지향적이며 확고하게 평화나 평등 인도 사해동포주의를 견지 했기 때문이다.
3.1절의 상징 유관순을 떠올리면 우리는 두 가지를 깊이 상념하게 된다. 먼저 기성세대의 오류와 실패는 공도오체의 청년들을 죽음으로 내몰 수도 있다는 점이다. 공동체의 전체 상황은 개개인의 삶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둘째느 ㄴ유관순이 너무도 젊다는 점이다 3.1절 시위에 참여하고 고향 아우내 시위를 주도했을 당시 그는 만17세도 되지 않았다. 옥중투쟁과 고문 끝에 옥사했을 당시엔 만18세도 안되었을 때다. 수많은 유관들들이 참여 없이도 3.1 정신에 대해 말할 수 있을까.
청년들 역시 전체와 보편에 반드시 눈을 떠야한다. 나의 문제가 남의 문제이고, 남의 문제가 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나와 남의 문제가 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나와 남의 문제라는 것은 곧 우리 전체의 문제라는 뜻이다. 따라서 미래준비는 언제나 사회비전과 자기 연마 두가지다. 우리는 전체에 눈을 뜰때 비로소 자기 삶의 궁극적 의미와 목적을 깨닫는다. 타인사랑 및 연대를 말한다.
타인 사랑은 곧 나의 사랑인것이다. 타인을 더 많이 더 깊게 사랑한 영혼들이 자기 삶을 더 뜨겁게 살고. 공동체와 인류에 더 큰 발자국을 남겼음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타인과 전체에 눈을 뜨는 바로 그순간 우리는 비로소 내 삶의 지평이 탄탄하게 자리를 잡는 '영혼의 떨림' 영적 각성을 경험하게 된다.
고토오에 직면한 오늘의 청년들이 그러한 '영혼의 떨림'을 통해 나와 남을 함께 사랑하고, 나와 전체를 바르게 바꾸는 '참된 청년정신'을 갖는 그리하여 타인과 세계에 '희망의 증거'가 되는 3.1절 아침이 되길 소망한다. 연세대교수 박명림 정치학 교수
'자원봉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죽선 (0) | 2012.06.05 |
---|---|
교차로 신문 칭찬릴레이 100호 복사 (0) | 2012.03.17 |
기미년 삼일절 (0) | 2012.03.01 |
자원봉사에 대한 자유기고 글 모음 (0) | 2012.01.25 |
[스크랩] 자원봉사 전자카드 발급을........... (0) | 2011.11.09 |